본인인증 유지 시간이 5분 00초 남았습니다.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목록 표시 개수
정렬기준
노동자의 목숨을 담보로 성장한 기업경제, 그 배후는 정부와 국회다 – 산재 공화국을 끝내기 위한 투명성과 처벌 중심의 개혁
1. 제안 배경 우리나라에서 노동자의 죽음은 일상이 되었다. 하루에도 수 명이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고 있으며, 특히 건설현장과 중소제조업, 물류업, 플랫폼 노동 현장에서...
1
0
관공사 초과 예산 근절 안
도로와 같은 관공사가 20%대 예산초과 완공 댐은 80%대 올림픽은 180% 대가 넘고 망하기까지 한단다. 왜 이런가 관공사는 전문가 보다 생색내기 정책이 많다. ...
공동주택 인테리어 공사, 기계설비 , 누수 및 방수 공사, 도배 등 각종 공사의 하자보수 계약 문제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모두의 광장 참여하는 참여자님들, 모두의 광장 운영자님 1. 제안취지 ㄱ. 국민들의 각 가정에서 수 많은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건설현장 사망사고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
사망사고는 사전에 예방 1. 안전관리자 1인은 위험한 작업현장에 상주해야 :사무실에 있거나 출근 안 하거나(특히 중소규모 건설현장) 2. 저승사자는 조용히 찾아옵니다....
공공안전을 위협하는 건설사의 부실시공, 이제는 국가적 재난 예방을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합니다
최근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건설현장의 붕괴 사고와 구조물 결함 문제는 단순한 산업재해의 차원을 넘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회적 위기로 이어지고 ...
부실 공사 방지를 위한 감리제도 혁신 방안
최근 대형 건설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 부실공사 사례는 감리제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현장 통제력과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철근 누락,...
️ 감리비 제도 개선 정책 제안서 – 감리비 과다, 건축사협회 중심 구조의 카르텔 해소 및 제도 현실화를 위한 제안 –
■ 1. 제안 배경 현행 건축감리 제도는 건축물의 안전과 품질 확보를 위해 도입되었으나,운영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구조적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감리비가 설계비와...
건설사고 예방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건설안전특별법 일부조항 개선 제안
<제안 배경> 2025년 6월 문진석 의원 외 10인이 발의한 「건설안전특별법안」은 건설공사 참여자들에게 권한에 상응하는 안전관리 책임을 부여하고, 사망사고 발생 시 형사처...
건축 감리비의 대폭 삭감을 촉구합니다.
이명박, 박근혜정부 시절에 국민 대다수가 모르지만 국민 대다수에 피해로 돌아오는 규정들이 만들어지거나, 변형되어 반영이 되었습니다. 대통령이 중요한 것은 그 한사람이...
3
「비상주 감리 건축사의 감리 범위 조정 및 안전·공종관리 책임 합리화를 위한 건축사법 개정 제안」
1. 제안 배경 현행 「건축사법」 및 관련 하위 법령에서는 건축사의 감리 범위를 광범위하게 정의하고 있으며, 특히 **“공종별 공사관리” 및 “현장 안전관리”**까지 감리의...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