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지방지역에 전문의료인력의 확보와 지속적인 상주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하고 의료인력 역시 지방지역 상주에 한계성이 있기에 지방에서의 의료 사각지역이 존재가 중가추세입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 현상이 지방지역을 중심으로 심화 및 확산추세를 감안한다면 대안정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추진방안>
◉ 비의료 전문인력 범위
비의료 전문인력이라함은 의료기관에서 반드시 필요한 건강,장수 진단 프로그램 개발자와 시설운용자 및 보건건강 식품제조 및 개발자를 포함합니다.
현재 의료기관에서 전문의료인의 사전진단 시스템은 대부분이 관련 질병의 사전 진단 의료기기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는 바 디지털 바이어 의료기기 진단 시스템 기업 및 전문가 역시 비의료 인력으로 포함이 가능합니다.
◉ 필요시 관련 근거마련
전문의료기관 및 협회 등 부정적이고 집단적인 반대를 감안하여 법적,제도적 안전장치로서 지원조례 제정과 관련 지방정부의 우선 중요정책 선정 등 관련근거 및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 협업 및 Partnership
지방지역의 전문 의료관련 우수기업과 인력이 부족함을 감안하여 수도권을 포함 서울지역 및 건강,장수,바이오 전문단지가 조성된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비의료 전문기관 및 우수기업과 연구단체들 등 대상자를 선발하여 협업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 중점사업 공동추진
고령화 지역민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의료관련 시스템의 선제적 구축을 위하여 전문기관 및 우수기업, 전문가 등 공동사업으로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건강, 장수 의료분야 콘텐츠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공동연구 및 사업추진이 가능합니다.
◉ 보건건강 전문인력 양성
사회적 일저리 창출의 일환으로 비의료 분야에 대한 각 업종 및 장르별 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지원과 전무가 양성 시스템 역시 병행 추진이 가능합니다.
◉ 디지털 의료장비 산업화
지역민 건강을 위한 의료장비와 보건건강 식품연구, 디지털 의료기기, 의료기기 창업기업 등 전문 의료장비에 대한 지역 특성화 사업으로 발전함으로서 징겨경제 활성화 기여 역시 가능합니다.
◉ 1인가족 및 독거노인 선제적 대응
디지털 의료장비를 활용하여 1인가족 및 독거노인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가능함으로
고독사 등 독거노인 문제점 선제적 해소 가능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