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광주를 k팝의 본거지로 < 광주 글로벌 아레나 공연장 제안>

어제 대통령님이 광주에서 타운홀미팅을 하는 영상을 봤습니다. 저는 경기도사는 30대 직장인입니다. 대통령님 말씀 중 수도권과 대기업 등 한 쪽으로 몰리는 현상에 대한 걱정에 매우 공감합니다. 저는 전라도가 고향은 아니지만 민주주의 고장으로서 광주가 잘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지방 경제가 살아나려면 지역의 혈관이라 할 수 있는 소상공인이 살아나고, 일자리가 창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소상공인과 일자리 창출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 가장 빠른 방법은 관광으로 인한 경제활성화가 효과가 좋은 대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와 같은 제안을 합니다. 📍광주 군공항 이전 부지에 ‘글로벌 아레나 공연장 복합단지’ 건립 제안서 1. 제안 개요 광주 군공항 이전 부지를 활용해 2만석 규모의 메인 아레나와 1,000~3,000석 규모의 중·소형 공연장이 포함된 K-아레나 문화복합단지를 조성함으로써, 광주를 국내 최초의 K-아레나 메카로 육성하고, 지역 경제 및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전환을 이루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2. 현황과 문제의식 현재 대한민국에는 BTS, 블랙핑크 등 K-POP 슈퍼스타들과 해외 유명 아티스트들이 공연할 수 있는 2만명 이상의 상시 대형 아레나 공연장이 없습니다 3. 광주 유치의 강점 ✅ 입지 조건 군공항 이전 부지는 1,500,000㎡ 이상의 대규모 평지, 교통 확장 용이. 광주송정역(KTX), 광주공항 인접. 호남 고속철도 중심 도시. 인근 전남/전북, 대구권 관객까지 흡수 가능. ✅ K-POP 문화 특화 가능성 광주는 5·18, 예술, 민주주의의 상징 도시 → K-POP의 정신성과 결합 가능.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글로벌 감성을 동시에 담는 '광주형 K-컬처' 브랜드화. ✅ 관광 산업 연계 아레나 공연은 숙박·교통·식음료·쇼핑·지역 콘텐츠 산업 전체에 파급. 일본 오사카 돔 공연 시 3일 간 1000억 원 이상의 지역 경제 효과. 초기 투자 대비 회수 기간: 8~12년 추정 (공연 수익, 관광, MICE 수입 포함) 5. 기대 효과 💡 경제적 효과 연간 100회 이상 공연 유치 시 직접 경제효과 3,000억 원 이상. 고용 창출: 직·간접 포함 약 5,000명 이상. 공연, 전시, e스포츠, 기업행사 등 365일 복합활용 가능. 💡 문화적 파급력 지역 예술인 및 뮤지션의 자생적 공연 생태계 육성 청소년, 대학생, 창작자 중심의 소공연장(1,000석 이하) 병행 설치로 문화 다양성 6. 결론 및 제안 광주가 ‘대한민국 공연의 수도’, ‘아시아 대중문화의 허브’로 도약할 기회입니다. 정부의 국책사업(문화 SOC)과 연계하고, 민자 유치 및 기업 협력을 통해 ‘한국형 코첼라, 한국형 오사카 돔’으로 계획. 🔖 후속 제안 국토부/문체부/기재부 협의로 "공연·관광 특화 복합개발지구 지정" 추진 CJ, 하이브, SM, 네이버, 카카오 등과 전략적 공연 콘텐츠 협약 UN문화기구, 광주비엔날레와 연계한 세계 뮤직 페스티벌 개최 등

국정기획위원회의 답변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답변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모두의 광장’에 방문하여 소중한 의견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귀하께서 제안해 주신 내용에 대해 소관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귀하의 제안 내용은 ‘광주 지역에 글로벌 아레나 공연장 조성 제안’으로 이해됩니다. 대형 복합 아레나형 공연장 건립사업은 대규모 재원과 시간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으로, 공연 수요 및 산업 구조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시설 운영의 지속 가능성과 경제성을 함께 고려하여 수요 분석에 기반한 적정 시설 규모 도출 등 세부 사업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입니다. 안타깝게도 현재는 귀하가 제안하신 광주광역시 지역에 대형 복합 아레나형 공연장 건립 추진을 결정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며, 제안내용을 참고하여 국가균형발전 기여 및 K-컬처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귀하가 제안하신 내용은 국정기획위원회 내 소관 분과위에 통보하여, 국정과제 혹은 소관 부처 정책 반영 여부를 검토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