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두의 광장 참여하는 참여자님들, 모두의 광장 운영자님
1. 제안취지
ㄱ. 지금 저희동네 골목에 빗물받이 하수구 보더라도 버려진 담배꽁초가 꽉 차 있습니다.
ㄴ. 빗물받이 하수구에 있는 담배꽁초에서 미세플라스틱 다량 유출되는데 이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고자 이 제안을 작성했습니다.
2. 현황 및 문제점
ㄱ.이러한 하수구 빗물받이 담배꽁초는 2020년 환경부 담배꽁초 관리체계 마련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해양유입량이 100%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된다는가정하에 그 무게를 기여도라고 보았으며 하루 약 0.14~ 0.7 ton의 미세플라스틱이 국내연·근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 만큼 매우 많은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유출하고 있습니다.
ㄴ. Ocean Conservancy 민간 환경단체 2023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전세계적으로 거의 매년 해안 쓰레기 수집시 1위가 담배꽁초일 정도로 담배꽁초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바다 오염의 매우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ㄷ. 더 안타까운 것은 서울시 물재생센터 담당부서에 이 문제에 관해 질문했을때 아래와 같은 답변을 받았습니다.
------------------------------------------------------------------------------------------------------------------------------
a. 현재 하수도 법령에는 미세플라스틱에 관한 규정이 부재
b. 대다수 하수관로를 지나는 물(여기서 물은 하수구 빗물받이에 있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를 이미 거쳤기 때문에 이미 그 물에는 대부분 미세플라스틱이 내포 되어 있습니다.)들은 제대로 미세플라스틱이 필터링 되지 못하고 하천에 방류
c. 수도권에서는 앞으로 분류식하수관로 설치 확대 즉, 빗물(이미 빗물도 하수구 빗물받이에 있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를 이미 거쳤기 때문에 이미 그 물에는 대부분 미세플라스틱이 내포 되어 있습니다.)은 전혀 미세플라스틱이 필터링 되지 못하고 하천에 방류
------------------------------------------------------------------------------------------------------------------------------
함을로써 현재에도 하천에 미세플라스틱이 필터링 되지 않고 흘러보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ㄹ. 2020년 환경부 담배꽁초 관리체계 마련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흡연자의 빗물받이 하수구에 담배꽁초 무의식적 투기, 흡연공
간의 축소, 단속미흡 등의 문제가 큰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3.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해결방안
ㄱ. 맨 아래 출처1을 인용해서 말해보자면 앞으로 빗물받이 하수구 지나는 물 즉, 오수, 빗물, 지하수 상관없이 하수관로 지나는 모든 물은 기존 정수처리시설 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대한민국 모든 지자체에
a. 응집, 침전, 여과 과정을 거치도록 합류식 하수관로 하수처리시설을 설치 및 확대 합니다.
b. 하지만 이 시설도 일부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도 처리 기술 즉, 한외여과(UF), 나노여과(NF), 역삼투(RO) 공정 같은 막처리기술을 함께 적용시킵니
다.이 기술은 1μm 이하의 미세 입자까지 제거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 생각합니다.
c. 하수관로 지나는 모든 물은 미세플라스틱의 수돗물 내 농도에 대한 UN 산하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미세플라스틱 음용수 기준
수준으로 설정합니다.
ㄴ. 맨 아래 출처2번 서울시 동작구 처럼 빗물받이 하수구 상부에 거름망을 씌워 배수로 유입 전 쓰레기를 사전 차단하는 방식을 운영하면 매우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으로 기존 빗물받이를 눈에 띄는 색으로 변신시켜 쓰레기 무단투기를 방지하고, 쓰레기가 쌓이더라도 한 번에 치울 수 있도록 거름망을 빗물받이 뚜껑에 씌우면 관리가 용이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ㄷ. 대한민국에서 담배를 판매하는 모든 제조사에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를 적용시켜 담배 제품의 사용 후 발생되는 폐기물의 재활용까지 책임지게 해주시길 건의드립니다.기업들도 ESG를 생각 안할 수 없으니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ㄹ. 제조사 EPR 제도를 통한 마련된 재원으로 맨 아래 출처3 처럼 각 스마트 흡연 부스를 공동주택 ,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근처, 업무지구 지역 골목 등에 설치하되 기존보다 공기정화 설비를 더 업그레이드 해서 설치 한다면 혐연권과 흡연권의 갈등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그와 더불어 흡연공간 부족으로 인한 담배꽁초 무단 투기도 최소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ㅁ.맨 아래 출처4 자료를 인용해서 말하자면 담배꽁초 발생량이 많은 지역에 한해 인력운영을 개선함으로써 수거되는 양을 늘리고 소형 진공청소기, 논면청소차 와 같은 전동 청소용품의 보급을 확대시행함으로써 좁은 골목 및 빗물받이와 같은 집중발생 지점에 대하여 인력대비 수거효율을 상승시키면 빗물받이 하수구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미세플라스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끝으로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생하십쇼.
[출처]
1.https://www.water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010
#[류재근 박사 칼럼] “미세플라스틱으로 상수원이 오염되지 않도록 노력하자” #워터저널
2. https://www.khan.co.kr/article/202311151141001
#도로변 빗물받이에 거름망 씌운다…동작구, 자체 개발 #한겨례
3.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12809.html
#“거리 흡연 줄이고 꽁초 재활용”…호응 큰 ‘성동형 스마트 흡연부스’ #서울&
4.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480000-201900527
#담배꽁초 관리체계 마련 연구용역 #환경부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