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공공분야 경력증명서 발급 시스템 구축 요청

현재 중앙부처 공무원의 경우 민원24를 통해 근무경력에 대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것처럼 공공분야까지, 나아가서는 민간분야까지 경력증명서를 손쉽게 발급받을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공공분야 채용의 경우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인사운영에 관한 지침」 등 인사규정에 따라 국가공무원법을 준용하거나 일부 국가의 공식적인 지침 등을 따라 공통 요소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경력산정 혹은 채용 과정에서 경력증명을 위해 경력증명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최근 3개월 내 발급 등으로 최신 발급 서류여야 함을 명시하는 기관도 상당 수 있습니다. 하지만 취업준비생 입장에서는 경력증명서 발급에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 경력증명서 발급을 위해서는 과거 근무했던 회사에 개별적으로 연락하여야 하고, 특히 홈페이지에 경력증명서 발급절차가 명시되어 있거나 별도의 시스템으로 마련되어있지 않은 회사의 경우 경력증명서 발급부서와 담당자를 알아내는 것부터가 어려운일이기도 합니다. * 또한 일부 회사의 경우에는 경력증명서 발급 절차가 까다롭고, 소요기간 등이 매우 많이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경력증명서 자체는 회사 채용 절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증빙서류이므로 공공분야의 근무 경력만이라도 개별 근무처에 연락하는 것이 아닌 경력증명서 발급 시스템 등을 통해 중앙에서 일원화되어 관리되었으면 합니다. 실제로 해당 제안이 가능하다고 보는 이유는, 4대보험가입증명서와 같이 고용보험가입 등 근무경력에 대해서는 국가단위에서 관리가 되고 있는 정보일 뿐만 아니라 공공분야는 이미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를 통해 기관별 정돈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무원은 민원24를 통해 발급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CappBizCD=00000000008) 실제로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를 통해 많은 취준생들이 기관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파악하며 취업에 도움을 받는 것처럼 공공분야 근무경력에 대한 경력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면 매우 이로울 것이라 생각됩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실익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채용담당자: 검증된 시스템을 통한 경력증명서이므로, 개별기관으로 사실조회 공문을 발송할 필요가 없음 *취업준비생: 과거 근무했던 기관에 연락하여 경력증명서 발급을 요청할 필요가 없음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