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안 배경 및 필요성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문예회관, 제주아트센터, 서귀포예술의전당 등 대형 문화예술시설과 함께 민간이 운영하는 소규모 전시·공연 공간, 복합문화공간 등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들 시설에 대한 정보가 분산되어 있어 문화예술 행사의 기획 주최자는 목적에 맞는 공간을 탐색하고 예약하는 데 불편함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전시·공연 및 복합 문화 공간 소유주는 활용도와 접근성에서 홍보에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문화예술 행정기관은 지역 내 문화예술시설을 총괄적으로 관리·운영 하는 데 정보 기반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 내 전시·공연 공간을 통합하고, 정보 제공 및 예약까지 가능한 플랫폼 구축이 절실합니다.
▶아울러 전국 문화예술 시설에 대한 정보는 더욱 부족하여 도외 지역에서의 문화예술 활동을 함에 있어 제약이 많은 실정입니다.
2. 사업 목적
▶공공 및 민간 문화예술 시설 중심의 정보 통합 및 플랫폼화
▶문화예술 행사 기획 주최자와 공간 운영자 간 매칭 시스템 구축
▶'문화예술 시설 인증제'를 통한 신뢰도 향상 및 서비스 품질 제고
▶공간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3. 주요 내용 및 추진 방안
가. 플랫폼 주요 기능
▶공간 검색 : 지역, 규모, 용도, 가격, 설비 정보 기반 필터링
▶예약 시스템 : 일정 확인, 실시간 예약 및 결제 연동
▶인증마크 표시 : 공공·민간 공간 대상 ‘문화시설 인증제’ 도입
▶후기 및 평가 : 이용자 기반의 평점과 피드백 제공
▶맞춤 추천 : 전시·공연 성격에 맞는 공간 추천 알고리즘
▶홍보 연계 : 공간별 SNS/포스터/홍보자료 연동 기능
나. 시설 인증제 도입
▶평가 기준 : 접근성, 방음/음향 설비, 안전시설, 관객 수용 규모, 위생상태 등
▶인증 등급 : A~C등급 혹은 별(★) 등급 시스템
▶운영주체 : 제주특별자치도 + 민간전문가(문화예술 행사 기획자, 기술감독 등)로 구성된 심의위원회
다. 기대 효과
▶문화예술 행사 기획자 및 예술가
- 공간 선택의 다양성 확보
- 용도 적합성 및 예산에 맞는 선택 가능
▶공간 운영자
- 유휴 시간대 활용 가능성 증가
- 민간 홍보 부담 감소 및 공식 신뢰도 상승
▶도민 및 관람객
- 지역 내 문화공간 활성화로 접근성 개선
- 다양한 문화콘텐츠 향유 기회 증가
▶행정기관
- 시설 현황 데이터 기반 문화정책 수립 용이
- 민간 문화자원 활용률 상승으로 예산 효율화
4. 제안 마무리
문화예술은 공간에서 완성됩니다.
공간이 살아야 문화가 숨쉬고, 그 속에서 예술이 지속됩니다.
대한민국 문화정책의 새 장을 열어갈 이 플랫폼 구축 사업은 디지털 시대에 맞춰 행정의 역할은 가볍게, 민간의 창의력은 넓게 펼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 제안이 문화로 연결된 대한민국, 공간으로 살아나는 예술의 나라, "문화강국 대한민국"을 만드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제주의 문화는 바람을 타고, 바다를 품고 자라납니다. 그 생생한 이야기를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풀어내는 대한민국을 기대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