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청년 무직자 50만 시대, 창업 연계형 마케팅 스타트업 육성 및 근로환경 개선 정책

1.정책 제안 이유 2025년 기준, 한국의 "그냥 쉬는 청년"이 50만 명을 초과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일자리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창업을 시도하고 싶어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정보 부족, 창업 후 마케팅 및 수익 창출이 어려운 구조, 취업 후에도 직장 내 괴롭힘 및 고용 불안정 등의 복합 문제가 얽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방 청년은 더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으며, 대부분의 창업 지원은 수도권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단순한 "지원금"보다 전문가 매칭 기반 창업 교육, 지방 마케팅 일자리 창출, 근로환경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청년들이 지속 가능한 삶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이야말로 청년들에게 일할 수 있는 희망, 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안전망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 지금 현재 정부가 나설 정도로 심각한 문제의 해결방법은 제가 생각하건대 아래와 같습니다. 정책 내용 1. 창업 교육 + 전문가 매칭 시스템 도입 단순한 온라인 강의가 아니라 1:1 실무 중심의 전문가 매칭 멘토링 제공. 청년이 본인의 적성에 따라 마케팅, 유튜브, 디자인, 콘텐츠 제작, 앱 개발 등 분야별로 창업 아이템을 고를 수 있도록 안내. 창업 시뮬레이션, 실전 프로젝트, 비즈니스 모델 설계 등을 단계별로 교육. 2. 정부지원 창업 마케팅 기업·스타트업 집중 육성 정부·지자체가 예비 청년 창업자에게 초기 자금(마케팅비, 웹사이트 구축비, SNS광고비 등)**을 지원. 지방 거점 창업 허브센터(예: 진주, 창원, 전주, 청주 등) 설치 및 청년 창업 클러스터 운영.(필요에 따라 창조경제혁신센터 이용 지원) 실패한 청년 창업자 재도전 기회 보장 및 지원금 회수 유예 제도 마련. 3. 지방 청년 위한 마케팅 기반 일자리 확대 대도시에만 몰린 광고, 홍보, 마케팅 일자리를 지방 청년도 비대면 원격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전국 청년이 재택 또는 협업 공간에서 카피라이팅, 디자인, 콘텐츠 기획 등 마케팅 실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4. 직장 내 괴롭힘 근절 및 감시체계 강화 청년층이 취업 후 조기 이직하거나 퇴사하는 주요 원인인 직장 내 갑질·괴롭힘을 막기 위한 고용노동부 상시 모니터링 제도 도입. 직장 괴롭힘 익명 신고 시스템 개선 및 신고자 보호 의무 강화.

댓글 -

정렬기준

0/300